안녕하세요. 하류입니다.
독해가 다들 뭔지 아시나요? 안다고 한들 자세히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독해는 글을 매개로 글쓴이와 독자가 만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고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자가 구성하는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나는 글쓴이의 관점이 반영된 글의 형식과 내용, 다른 하나는 독해 과정에서 동원되는 독자의 배경지식입니다.
독해 과정을 글이나 자료의 영향에 초점을 두고 설명할 때 이를 '상향식' 또는 '아래에서 위로' 의 과정이라고 부릅니다.
반면 독해 과정을 독자의 배경지식이 의미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여 설명할 때에는 '하향식' 또는 '위에서 아래로' 의 과정이라 부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독해 과정은 상향식과 하향식이 서로 유기적으로 만나는 '상호 작용' 으로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독해는 '읽기 전 활동', '읽는 중 활동', '읽은 후 활동' 의 과정을 거치는데 각 과정마다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며 글을 읽게 됩니다.
간단하게 정리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읽기 전 활동
ㆍ 읽는 목적 확인하기
ㆍ 연상하기나 경험 떠올리기 등을 통한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ㆍ 훑어보기를 통한 예측하기나 질문 만들기
∇
□ 읽는 중 활동
ㆍ 자신의 말로 바꾸어 이해하기
ㆍ 장면, 절차, 이미지 등을 머릿속에 그리며 읽기
ㆍ 예측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거나 궁금한 내용 찾으며 읽기
ㆍ 숨겨진 내용이나 글쓴이의 의도 등을 추론하며 읽기
ㆍ 글의 내용이나 글쓴이의 주장에 대해 공감하거나 반박하기
ㆍ 사실성, 논리성, 타당성 등을 판단하며 읽기
ㆍ 새로운 아이디어나 대안 등을 떠올리며 읽기
∇
□ 읽은 후 활동
ㆍ 전체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기
ㆍ 도해 조직자 등을 활용하여 중요 내용 정리하기
ㆍ 중심 내용이나 주제 파악하기
ㆍ 새로 알게 된 내용의 활용 방안 생각하기
ㆍ 새로 얻게 된 깨달음의 실천 방안 생각하기
ㆍ 자신의 독서 방법을 점검하고 반성하기
독자 분들은 독해 과정에서도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려운 단어로 인해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부분의 뜻은 알겠지만 전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독서하는 글 내용 외의 다른 생각으로 인해 독해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독해와 공부의 공통점
ㆍ 자신의 읽기 목적에 맞는 책을 읽는다.
ㆍ 밑줄 긋기, 요약하기, 노트하기 등 다양한 독해 전략을 적용한다.
□ 독해 방법
ㆍ 정독 : 세밀하게 따져 가며 느리고 자세하게 읽기.
ㆍ 속독 : 빠르게 훑어 읽기.
ㆍ 음독 : 소리 내어 읽기.
ㆍ 묵독 : 소리 내지 않고 읽기.
==========================================
그냥 독서하는 것도 좋지만 그 책을 독해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독해 역시 훈련을 하면 계발되고 성장하게 됩니다. 능숙한 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글을 읽기전, 읽는 중, 읽은 후에 어떤 전략을 적용할지, 읽기 상황에 맞게 어떤 방법으로 읽어야 할지를 알고 실제 독해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적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옛날에는 독해 학원도 있었다고 하네요! 그 만큼 독해가 중요합니다.
한번 씩 실천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오타지적 환영 *
'Review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의 의미와 가치 (0) | 2017.08.29 |
---|---|
반전있고 애절있는 로맨스 소설 BEST 2 ! (0) | 2017.08.27 |
댓글